심산 김창숙
통일 민주화 운동
김창숙은 광복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통일 정부가 수립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김구와 함께 민족 통일을 위해 노력했다.
“민족단결이 가장 급선무다. 그 단결의 방법은 반드시 먼저 인민공화국을 해산하고, 좌익 우익의 구별을 타파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치아래 모두 모아서 그 당면정책 14개조항을 받아들여
실천할 것, 이것이 실로 오늘날 우리 국가 민족의 다행이 될 것이라”(1945년 12월)
“내가 듣기에 60여 정당이 조직되어 있다 하니, 어찌 정당이 이렇게도 많은가? 나라와 강토는 아직 완전히 수복되지 못하였고, 정식 정부 역시 성립을 보지 못한 이때에, 정당의 어지러운 싸움이
이와 같이 심한 지경에 이르러서 저 60여 당이 만약 정권과 정책을 서로 다툰다면, 새로 일어날 대한민국이 필연 저네들의 손에서 다시 망하게 되지 않을까 두렵도다.”
김창숙은 이승만 정부에 대항하며 하야 경고문을 발표했고, 이로 인해 1952년 부산 국제구락부 사건으로 40일간 옥고를 겪었다. 1956년 정부통령 선거에서 야권후보
단일화를 추진하였으나 실패한 이후 고향 성주에서 지내던 김창숙은 1958년 12월 24일 국가보안법 개정안이 통과되자 손자 등에 업혀 상경하고 민주화 운동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