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심산 김창숙

심산의 발자취

심산 김창숙은 1879년 7월 10일 경북 성주군 대가면에서 부친 김호림과 모친 인동 장씨의 1남 4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의성, 자는 문좌, 호는 직강·심산·벽옹 이다. 부친 김호림은 계급과 신분제에 부정적인 입장을 가졌던 개혁적 성향의 유학자였으며 김창숙은 1896년 부친이 세상을 떠난 후 모친의 훈계를 받고 본격적으로 유학 공부를 시작 하였다.

(1) 한주학파와 유학사상

심산 김창숙은 당시 대유학자인 면우 곽종석, 대계 이승희, 회당 장석영 등 한주학파 유림들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13대조인 김우옹과 남명 조식의 학풍을 이어 받았다.

한주학파는 한주 이진상을 중심으로 진취적이고 개방적 성향으로 항일 운동에 앞장서게 되는데, 김창숙은 한주학파를 통해 성리학의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서양문물과 새로운 시대 사조를 수용
하는 진취적인 사상을 갖추게 되었다.

(2) 구국운동

“이 역적을 성토하지 않는 자 또한 역적이다.”
“나라를 구하려면 모든 구습을 개혁하고 구습의 개혁은 계급타파로부터 시작해야한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김창숙은 스승 이승희와 상경하여 을사오적의 처단 및 조약 파기를 주장하는 상소문 [청주적신파늑약소]를 올렸다. 이후 1908년 성주 향사당에서 대한협회 성주
지부를 조직하여 구국운동을 전개했다.

1907년 단연 동맹회를 결성해 국채보상을 위한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국채보상운동이 좌절되자 이 모금액으로 청천서당에 근대 학교인 성명 학교를 세웠다. 그리고 1909년 일진회의 ‘한일합방론’을 규탄하는 [일진회성토건의서]를 중추원에 제출하여 8개월동안 구금되었고,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해서는 “선비로서 세상을 사는 것은 큰 치욕"이라며 방황의 시간을 보내다 모친의 훈계로 마음을 되돌려 4,5년간 학문에 전념하며 독립 운동의 길을 모색하였다.